한국유교문화진흥원

반복영역 건너뛰기
  • 본문 바로가기
  • 상단메뉴 바로가기
영문책자
  • 한국유교문화진흥원 인스타그램
  • 한국유교문화진흥원 카카오스토리
  • 한국유교문화진흥원 유튜브
  • 한국유교문화진흥원 블로그
  • 한국유교문화진흥원 네이버밴드
    • 로그인
    • 회원가입
  • 한유진 소개
    한유진 소개 유교문화 및 충청지역 국학의 총체적 거점 연구기관으로한국유교문화진흥원이 함께합니다.
    • 인사말
    • 약력
    • 목표·비전
    • 조직구성
    • 시설안내
    • CI·캐릭터
    • 한국유교문화축전
  • 선비회원
    선비회원 유교문화 및 충청지역 국학의 총체적 거점 연구기관으로한국유교문화진흥원이 함께합니다.
    • 선비회원 소개
    • 선비회원 갤러리/후기
    • 증빙자료등록
  • 사업안내
    사업안내 유교문화 및 충청지역 국학의 총체적 거점 연구기관으로한국유교문화진흥원이 함께합니다.
    • 학술연구
    • 교류협력
    • 조사.수집.정리
    • 기증기탁
    • 보존처리
    • 국학 아카이브
  • 한국예학센터
    한국예학센터 유교문화 및 충청지역 국학의 총체적 거점 연구기관으로한국유교문화진흥원이 함께합니다.
    • 소개
    • 한국예학서&연구현황
    • 한국예학 종합DB
    • 한국예학서 국역
    • 전문가 세미나
    • K-생활예절
    • 예절 TOON
    • 간행물
    • Q&A
  • 발간물
    발간물 유교문화 및 충청지역 국학의 총체적 거점 연구기관으로한국유교문화진흥원이 함께합니다.
    • 교육자료
    • 연구서
    • 국역서
    • 목록·해제집
    • 도록
    • 정기간행물
    • 교양서
    • 학술자료집
  • 전 시
    전 시 유교문화 및 충청지역 국학의 총체적 거점 연구기관으로한국유교문화진흥원이 함께합니다.
    • 현재전시
    • 지난전시
  • 예약하기
    예약하기 유교문화 및 충청지역 국학의 총체적 거점 연구기관으로한국유교문화진흥원이 함께합니다.
    • 예약안내
    • 프로그램 예약
  • 소통공간
    소통공간 유교문화 및 충청지역 국학의 총체적 거점 연구기관으로한국유교문화진흥원이 함께합니다.
    • 공지사항
    • 행사·소식
    • 채용공고
    • 언론보도
    • 공식SNS
    • 영상자료
    • Q&A
    • FAQ
    • 웹진
  • 정보공개
    정보공개 유교문화 및 충청지역 국학의 총체적 거점 연구기관으로한국유교문화진흥원이 함께합니다.
    • 정보공개안내
    • 인권경영
    • 윤리경영
    • 적극행정
    • 성희롱 신고센터
    • 경영공시
선비회원증 메뉴
검색
  • 홈
  • 한국예학센터
  • 한국예학서 국역
  • 상례비요

한국예학센터

한국예학서 국역

  • 소개
  • 한국예학서&연구현황
  • 한국예학 종합DB
  • 한국예학서 국역
  • 전문가 세미나
  • K-생활예절
  • 예절 TOON
  • 간행물
  • Q&A
  • 상례비요
  • 이선생예설유편
묘제(墓祭)
  • 작성자
    관리자(2023-12-06)
  • 조회
    6438
  • 墓祭

     

    〔墓祭之具〕

    同前.

     

    維 年號幾年, 歲次干支, 幾月干支朔, 幾日干支, 孝子

    祖考妣前 云“孝孫”, 曾祖考妣云“孝曾孫”, 高祖考妣云“孝玄孫”.

    某官某, 敢昭告于顯考某官府君

    母云“妣某封某氏”. 祖、曾、高祖考妣, 皆倣此. 考妣合葬, 則雙書.

    之墓, 氣序流易, 雨露旣濡,

    寒食云云歲時, 改此句爲“歲律旣更”, 端午云“時物暢茂”. 秋夕云“白露旣降”.

    瞻掃封塋, 昊天罔極.

    祖考妣前, 改爲“不勝感慕”.

    謹以淸酌、庶羞, 祇薦歲事, 尙饗.

    右墓前祝.

     

    維 年號幾年, 歲次干支, 幾月干支朔, 幾日干支, 某官姓名, 敢昭告于土地之神. 某恭修歲事于某親某官府君之墓, 惟時保佑, 實賴神休, 敢以酒饌, 敬伸奠獻, 尙饗.

    右土地神祝.

     

    三月上旬, 擇日.

    〔程子〕〔張子〕〔韓魏公〕皆用寒食及十月一日, 拜墳祭之. ○〔晦齋〕曰, “按『家禮』, 墓祭, 三月上旬, 擇日行之, 今世俗正朝、寒食、端午、秋夕, 皆詣墓拜掃, 今且從俗, 可也.” ○〔栗谷〕曰, “墓祭, 行于四時, 與家廟無等殺, 似未安. 當於寒食、秋夕二節, 具盛饌, 讀祝文祭土神, 一依『家禮』墓祭之儀, 正朝、端午二節, 則略備饌物, 只一獻無祝, 不祭土神, 夫如是則酌古通今, 似爲得宜.”

     

    前期一日, 齋戒,

    如家祭之儀.

     

    具饌.

    墓上每分, 如時祭之品. ○更設魚、肉, 米、麪食, 各一大盤, 以祭土地.

     

    厥明灑掃,

    主人深衣, 帥執事者, 詣墓所再拜, 奉行塋域內外, 環繞哀省三周. 其有草棘, 卽用刀斧鋤斬灑掃. 訖復位再拜. ○又除地於墓左, 以祭〔土地〕

     

    布席, 陳饌.

    用新潔席, 陳於墓前, 設饌, 如家祭之儀.

     

    參神, 降神, 初獻.

    祝文見上.

     

    亞獻, 終獻.

    幷以子弟、親朋薦之.

     

    辭神, 乃徹.

     

    〔遂祭土地.〕

    布席, 陳饌,

    布席于除地處, 饌四品, 各用大盤設.

    席南端, 又設盤 盞, 匙筯于其北. 餘竝同上.

     

    降神, 參神, 三獻.

    同上.

    祝文見上.

     

    辭神, 乃徹而退.

    〔朱子〕曰, “祭土地之禮, 可與墓前一樣. 菜、果、鮓、脯、飯、茶、湯各一器, 以盡寧親事神之意, 勿令其有隆殺.”

    〔按〕 此與『家禮』饌品不同, 姑竝記之, 以備參考.

  • 이전 글
    상례비요 발문(喪禮備要跋)
  • 다음 글
    다음 글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목록
  • 개인정보보호방침
  • 영상정보처리기기 운영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 한유진 소개
한국유교문화진흥원 로고
(32902)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종학길 10 한국유교문화진흥원. Tel. 041-980-3500 Fax. 041-980-3501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자동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Copyright (c) 2024 Institute Of Korean Confucian Cultur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