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유교문화진흥원

반복영역 건너뛰기
  • 본문 바로가기
  • 상단메뉴 바로가기
영문책자
  • 한국유교문화진흥원 인스타그램
  • 한국유교문화진흥원 카카오스토리
  • 한국유교문화진흥원 유튜브
  • 한국유교문화진흥원 블로그
  • 한국유교문화진흥원 네이버밴드
    • 로그인
    • 회원가입
  • 한유진 소개
    한유진 소개 유교문화 및 충청지역 국학의 총체적 거점 연구기관으로한국유교문화진흥원이 함께합니다.
    • 인사말
    • 약력
    • 목표·비전
    • 조직구성
    • 시설안내
    • CI·캐릭터
    • 한국유교문화축전
  • 선비회원
    선비회원 유교문화 및 충청지역 국학의 총체적 거점 연구기관으로한국유교문화진흥원이 함께합니다.
    • 선비회원 소개
    • 선비회원 갤러리/후기
    • 증빙자료등록
  • 사업안내
    사업안내 유교문화 및 충청지역 국학의 총체적 거점 연구기관으로한국유교문화진흥원이 함께합니다.
    • 학술연구
    • 교류협력
    • 조사.수집.정리
    • 기증기탁
    • 보존처리
    • 국학 아카이브
  • 한국예학센터
    한국예학센터 유교문화 및 충청지역 국학의 총체적 거점 연구기관으로한국유교문화진흥원이 함께합니다.
    • 소개
    • 한국예학서&연구현황
    • 한국예학 종합DB
    • 한국예학서 국역
    • 전문가 세미나
    • K-생활예절
    • 예절 TOON
    • 간행물
    • Q&A
  • 발간물
    발간물 유교문화 및 충청지역 국학의 총체적 거점 연구기관으로한국유교문화진흥원이 함께합니다.
    • 교육자료
    • 연구서
    • 국역서
    • 목록·해제집
    • 도록
    • 정기간행물
    • 교양서
    • 학술자료집
  • 전 시
    전 시 유교문화 및 충청지역 국학의 총체적 거점 연구기관으로한국유교문화진흥원이 함께합니다.
    • 현재전시
    • 지난전시
  • 예약하기
    예약하기 유교문화 및 충청지역 국학의 총체적 거점 연구기관으로한국유교문화진흥원이 함께합니다.
    • 예약안내
    • 프로그램 예약
  • 소통공간
    소통공간 유교문화 및 충청지역 국학의 총체적 거점 연구기관으로한국유교문화진흥원이 함께합니다.
    • 공지사항
    • 행사·소식
    • 채용공고
    • 언론보도
    • 공식SNS
    • 영상자료
    • Q&A
    • FAQ
    • 웹진
  • 정보공개
    정보공개 유교문화 및 충청지역 국학의 총체적 거점 연구기관으로한국유교문화진흥원이 함께합니다.
    • 정보공개안내
    • 인권경영
    • 윤리경영
    • 적극행정
    • 성희롱 신고센터
    • 경영공시
선비회원증 메뉴
검색
  • 홈
  • 한유진 소개

한유진 소개

  • 인사말
  • 약력
  • 목표·비전
  • 조직구성
  • 시설안내
  • CI·캐릭터
  • 한국유교문화축전

역사의 나들목

11 COURSE

약도

역사의 나들목

11 COURSE

태안

충청남도 서해안 끝자락에 위치한 태안군은 서산과 접한 동쪽을 제외하고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다. 해외 문물을 받아들이던 중요한 창구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지만 왜구의 침략이 잦은 곳이기도 하였다. 태안이라는 지명은 고려 충렬왕 때부터 사용하였으며 태안(泰安)은 국태민안(國泰民安)의 준말로 태안반도의 앞바다가 잔잔하고 편안해야 나라가 안정되고 백성이 편안해진다는 바람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청나라의 압박을 받던 시절 명나라 사신들이 오가던 항구도시로 중국시신들을 처음 영접하는 곳이었다. 연안 항로를 이용하여 세금으로 거둔 곡식을 운반하던 배들이 오가던 곳으로 군사적으로도 중요성이 강조되어 수군첨절제사가 배치되기도 하였다.

태안읍성

사신맞이 고을 태안읍성·태안객사

태안읍성전경

조선 초기의 읍성 축성 기법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는 태안읍성은 조선시대에 축조된 읍성 가운데 상당히 이른 시기에 해당된다. 태안읍성은 전체 둘레가 약 728m이나 일제강점기와 근현대 시기 도시화 과정에서 상당 부분 훼손돼, 현재는 동벽 약 70m가 본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읍성은 해안 방어를 위해 축조됐지만, 조선 초기부터 행정의 중심을 담당해 그 역사적 의미가 매우 크다.

현재 일부만 남아있는 태안읍성의 벽채 옆쪽으로 옛 관아 건물인 태안객사의 터에 태안읍사무소가 자리하고 있다. 중국에서 배를 타고 들어온 사신들이 안흥항으로 입국해 가장 처음 만나는 고을이 태안현이기 때문에 손님을 맞이하는 태안객사의 크기는 상당히 컸던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동학농민운동 당시 대부분의 건물이 불에 타버려, 현재는 목애당과 경이정 등 일부 건물만이 남아있다.

주소 | 충청남도 태안군 경이정3길 43-3
시기 | 조선 초기
용도 | 방어

목애당

목애당은 조선시대 태안현 관아의 정무를 보던 건물로 백성을 잘 다스리고 사랑한다는 뜻으로 목애당(牧愛堂)이라 이름을 지었다. 이후 1970년까지 태안면사무소 건물로도 활용되다가 면사무소가 읍으로 승격하여 신축·이전하게 되자 민원실로 사용해 왔다. 현재는 태안군민들의 휴식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주소 | 충청남도 태안군 백화로 54
용도 | 행정

경이정

경이정은 태안객사의 건물 일부로 행정청의 입구에 해당하며 조선 정종 때 객사에 머무는 사신들이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자 만들어졌다. '경이(憬夷)'라는 말은 멀리 항해하는 사신의 평안함을 빈다는 뜻인데, 중국의 사신이 안흥항을 통하여 육지에 들어올 때 휴식을 취하는 장소로 이용되었다. 또 이곳 해안을 지키는 방어사가 군사에 관한 명령을 내릴 때도 이곳을 사용하였다 한다.

주소 | 충청남도 태안군 경이정2길 1
용도 | 휴식, 집회

태안읍성

태안객사 옆 태안향교

태안향교는 1407년 건립 당시 대장군 김중구가 향교의 필요성을 설파하면서 사양동 샘골에 창건하고 덕산의 생원 최상운을 학사로 초빙해 훈도를 맡겼다. 처음에는 초가이던 것을 세종 때 기와로 증·개축하였으며 1717년에 화재로 소실된 것을 1720년에 현재의 자리에 새로 옮겨지었다.

태안군 관아에서 운영했던 태안향교는 태안군 관아가 있던 태안읍사무소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향교는 보통 재지 사족의 자제들이 주로 드나들던 곳이기 때문에 읍성에서 약간 떨어진 동쪽 편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태안향교는 원래의 자리에서 조선 후기 숙종 때 교육기관 역할이 약해질 즈음 현재의 자리로 옮겨진 것으로 보인다.

조선 중기 이후 향교는 서원에 밀려 교육기관으로서 역할이 축소되고 공자와 선현의 제사를 올리는 기능으로 존재하였다. 그마저도 1884년 갑오개혁에 따른 과거제도의 폐지에 따라 교육기능은 사실상 상실하고 문묘 행사의 기능이 남아 오늘에 이르고 있다.


주소 | 충청남도 태안군 백화1길 7
시기 | 1407년(태종 7)

용도 | 교육, 제사

태안읍성

중국 명장, 조선을 위해 목숨을 내놓다 숭의사

숭의사는 소주 가씨인 가유약 · 가상 · 가침 등 삼대를 기리기 위한 사당이다. 가유약은 중국의 이름 높은 장군으로 소주 가씨의 가문을 번영하게 한 조상이다.

그는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이여송과 함께 조선에 와서 왜군을 무찌르는 데 큰 공을 세우고 돌아갔다. 얼마 후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아들 가상 장군과 손자인 가침을 데리고 다시 조선에 오게 되었다. 가유약과 가상은 조선의 군대와 함께 왜군과 맞서 싸우다 지금의 부산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손자 가침은 원수를 갚으러 전장에 가려 했으나 주위의 만류로 조부의 시체를 거두어 장사하고 시묘하였다.

그 뒤 가침의 아들 사형제가 중국으로 돌아가기 위해 태안까지 왔으나 배편이 여의치 못해 돌아가지 못하고 조선에 머물며 태안에 정착하게 된다. 그 후손들은 ‘소주 가씨’라는 본관을 지키며 살아갔으며, 일생을 우리나라에 살면서 한 번도 왜국 쪽을 향해 앉은 적이 없다고 전한다. 시간이 흐르고 자손이 번창하자 그의 후손들이 선대의 유공(有功)을 조정에 건의해 부자 삼대의 충절과 가침 의 효심을 기리며 숭의사를 짓게 되었다.

주소 | 충청남도 태안군 남면 적돌길 415
시기 | 1851년(철종 2)
용도 | 제향

  • 개인정보보호방침
  • 영상정보처리기기 운영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 한유진 소개
한국유교문화진흥원 로고
(32902)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종학길 10 한국유교문화진흥원. Tel. 041-980-3500 Fax. 041-980-3501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자동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Copyright (c) 2024 Institute Of Korean Confucian Cultur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