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유교문화진흥원

반복영역 건너뛰기
  • 본문 바로가기
  • 상단메뉴 바로가기
영문책자
  • 한국유교문화진흥원 인스타그램
  • 한국유교문화진흥원 카카오스토리
  • 한국유교문화진흥원 유튜브
  • 한국유교문화진흥원 블로그
  • 한국유교문화진흥원 네이버밴드
    • 로그인
    • 회원가입
  • 한유진 소개
    한유진 소개 유교문화 및 충청지역 국학의 총체적 거점 연구기관으로한국유교문화진흥원이 함께합니다.
    • 인사말
    • 약력
    • 목표·비전
    • 조직구성
    • 시설안내
    • CI·캐릭터
    • 한국유교문화축전
  • 선비회원
    선비회원 유교문화 및 충청지역 국학의 총체적 거점 연구기관으로한국유교문화진흥원이 함께합니다.
    • 선비회원 소개
    • 선비회원 갤러리/후기
    • 증빙자료등록
  • 사업안내
    사업안내 유교문화 및 충청지역 국학의 총체적 거점 연구기관으로한국유교문화진흥원이 함께합니다.
    • 학술연구
    • 교류협력
    • 조사.수집.정리
    • 기증기탁
    • 보존처리
    • 국학 아카이브
  • 한국예학센터
    한국예학센터 유교문화 및 충청지역 국학의 총체적 거점 연구기관으로한국유교문화진흥원이 함께합니다.
    • 소개
    • 한국예학서&연구현황
    • 한국예학 종합DB
    • 한국예학서 국역
    • 전문가 세미나
    • K-생활예절
    • 예절 TOON
    • 간행물
    • Q&A
  • 발간물
    발간물 유교문화 및 충청지역 국학의 총체적 거점 연구기관으로한국유교문화진흥원이 함께합니다.
    • 교육자료
    • 연구서
    • 국역서
    • 목록·해제집
    • 도록
    • 정기간행물
    • 교양서
    • 학술자료집
  • 전 시
    전 시 유교문화 및 충청지역 국학의 총체적 거점 연구기관으로한국유교문화진흥원이 함께합니다.
    • 현재전시
    • 지난전시
  • 예약하기
    예약하기 유교문화 및 충청지역 국학의 총체적 거점 연구기관으로한국유교문화진흥원이 함께합니다.
    • 예약안내
    • 프로그램 예약
  • 소통공간
    소통공간 유교문화 및 충청지역 국학의 총체적 거점 연구기관으로한국유교문화진흥원이 함께합니다.
    • 공지사항
    • 행사·소식
    • 채용공고
    • 언론보도
    • 공식SNS
    • 영상자료
    • Q&A
    • FAQ
    • 웹진
  • 정보공개
    정보공개 유교문화 및 충청지역 국학의 총체적 거점 연구기관으로한국유교문화진흥원이 함께합니다.
    • 정보공개안내
    • 인권경영
    • 윤리경영
    • 적극행정
    • 성희롱 신고센터
    • 경영공시
선비회원증 메뉴
검색
  • 홈
  • 한유진 소개

한유진 소개

  • 인사말
  • 약력
  • 목표·비전
  • 조직구성
  • 시설안내
  • CI·캐릭터
  • 한국유교문화축전

일상의효를 찾는, 유학자의 도시

2 COURSE

약도2

일상의 효(孝)를 찾는, 유학자의 도시

2 COURSE

대전광역시

조선시대 대전은 공주목 소속의 회덕현, 진잠현과 유성지역으로 이루어졌다. 대전의 유학자는 삼송(우암 송시열, 동춘당 송준길, 제월당 송규렴)을 비롯하여 학문과 덕망이 높은 산림들을 중심으로 호서사림을 이루어, 기호학파의 학맥을 이어오면서 조선 후기의 정치와 사상을 주도하였다.

유교 사상에서 '효'는 교육과 문화 및 종교 등 모든 일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이에 대전광역시는 효문화의 회복과 창달을 위하여 ‘대전 효문화 뿌리축제’를 개최하며, 시민들이 일상에서 효를 실천할 수 있도록 효에 대한 교육에 앞장서고있다.

대전광역시전경

송시열과 송준길 남간정사와 동춘당

대전광역시전경1

대전에서는 우암 송시열과 동춘당 송준길의 유적을 한눈에 볼 수 있다. 송시열은 말년에 벼슬을 그만두고 처음 제자를 길렀던 능인암 아래 냇가에 남간정사를 지어 전국의 유림과 제자들을 모아 학문을 가르쳤다.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려 기둥을 높직하게 세우고 그 위에 대청을 얹었으며, 그 위를 드리우는 버드나무와의 조화는 자연의 흐름을 거스르지 않으려는 면모를 보여준다.

‘만물이 생동하는 봄과 같이 항상 살아 움직이는 집'이라는 뜻을 담고 있는 동춘당은 송준길이 자신의 호를 따 이름을 붙였다. 동춘당은 다른 고택과 다르게 굴뚝을 따로 세워 달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편히 쉬는 것을 부덕하게 생각하여 굴뚝을 보이지 않게 한 청백한 유학자의 성품을 느낄 수 있다.

평생을 함께한 벗, 송시열과 송준길

송시열과 송준길은 어렸을 때부터 함께 공부하며 자란 평생의 학문적, 정치적 동반자였다. 학문적으로는 율곡 이이에서 사계 김장생으로 이어지는 기호학파의 토대를 구축한 학자이자, 정치적으로는 병자호란의 치욕을 씻고 권토중래를 꿈꾸며 효종과 북벌을 계획했던 인물들이다. 그들이 어릴 적 함께 공부하고 꿈을 키우던 곳이 동춘당이고 성리학을 강학했던 곳이 남간정사이며, 북벌을 논의했던 곳이 기국정이다.

남간정사

주소 | 대전광역시 동구 충정로 53
시기 | 1683년(숙종 9)
용도 | 교육

동춘당

주소 | 대전광역시 대덕구 동춘당로 80
시기 | 1643년(인조21)
용도 | 주거

유회당 종가

부모를 생각하는 마음을 늘 품고 싶다 유회당 종가

안동 권씨 집성촌인 무수천하마을 안쪽에는 조선 후기 문신이자 우암 송시열의 외손자인 권이진이 터를 잡은 안동 권씨 유회당 종가가 있다. 권이진은 중국 명나라 문인의 시(詩) 중 '부모를 간절히 생각하는 효성스러운 마음을 늘 품고싶다'라는 대목을 따서 유회당이라는 이름을 지었다. 그는 송시열에게 수학하고 일찍이 요직을 거치며 강직한 성격과 깊은 애민정신으로 유명하기도 하지만 효심 또한 높았다. 선묘에서 약 300m 떨어진 곳에 유회당을 짓고 부모가 돌아가신 후에도 늘 선친의 가까이에 있으려 했다. 이곳에는 제사를 지내는 재실인 기궁재와 유회당, 권이진이 아버지의 묘를 지키기 위해 지은 시묘소인 삼근정사, 권이진의 문집이 보관되어 있는 장판각이 함께 자리 잡고 있다.


'하늘 아래 근심이 없는 마을'이라는 뜻의 무수천하마을은 천혜의 자연환경에 감사하는 마음으로 농약이나 비료를 쓰지 않고 유기농으로 키운 친환경 농산물을 재배하고 있다. 전통장류체험장, 농사, 공예, 전통음식 등 체험 프로그램도 진행하고 있다.


주소 | 대전광역시 중구 운남로 65
시기 | 1877년(고종14)
용도 | 주거, 서고, 제향

뿌리공원전경

나의 뿌리를 찾아서 뿌리공원(한국족보박물관)

뿌리공원전경2

뿌리공원은 자신의 성씨에 대한 유래를 알게 하여 가족의 의미를 일깨워주는 국내 유일의 '효' 테마공원이다. 이곳은 관람객에게 본인의 뿌리와 조상의 역사를 알려 줌으로써 자신의 존재를 더욱 소중히 여기게 해주는 공간이다. 뿌리공원을 방문한 아이들은 내가 누구인지 자연스레 깨닫는 시간을 보냄으로써 '가족' 이란 의미와 '조상'에 대한 자부심을 느낀다. 세대 간 소통의 공간으로 가족 단위의 많은 관광객이 뿌리공원을 찾고 있다. 뿌리공원 안에 위치한 우리나라 유일의 족보 전문 박물관인 한국족보박물관은 족보의 체계, 역사를 비롯한 전통 문화와 가족생활사에 관계된 다양한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뿌리공원에서 만성교를 건너면 가족 단위의 방문객을 위한 효문화체험과 휴양을 즐길 수 있는 효문화마을이있다. 효 관련 콘텐츠로 구성된 다양한 전시, 교육, 체험활동을 지원하고 있으며, 쉼터와 산책코스 그리고 휴양 숙박시설도 갖추고 있다.

뿌리공원

주소 | 대전광역시 중구 뿌리공원로 79
시기 | 1997년
용도 | 전시, 공원

  • 개인정보보호방침
  • 영상정보처리기기 운영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 한유진 소개
한국유교문화진흥원 로고
(32902)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종학길 10 한국유교문화진흥원. Tel. 041-980-3500 Fax. 041-980-3501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자동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Copyright (c) 2024 Institute Of Korean Confucian Culture. ALL RIGHTS RESERVED.